스타트업을 나 홀로 창업한 사람도 있겠지만, 둘 이상의 공동 창업자로 이뤄진 경우도 많이 있어요. 이 경우 지분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 초기에 고민하게 되는데요. 창업 시작을 처음부터 함께 하였다면 1/n으로 지분을 나눌 수도 있을 테고, 각자의 역할과 기여도를 고려하여 지분 비율을 달리할 수도 있어요.
물론 처음에 같이 사업을 시작했다는 이유로 동일 지분을 절반씩 나눠 가진다는 것은 갈등의 씨앗이기도 하니 지분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는 정말 중요한 문제일 수 있어요.
적절한 지분 비율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
정규직이 아닌 파트타임으로 핵심 기술 개발을 진행하였지만 지분 비율에 있어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어요. 또한 단순히 회사 설립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지만 정규직으로 시간을 사용한 공동창업자에게 지분이 많이 가게 되는 경우도 팀워크에 위험이 될 수 있어요.
결국 스타트업 설립 초기에 창업자는 창업 팀원에 대한 주식 배분, 각 팀원의 역할, 책임, 업무 성과, 목표 등을 서로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한 업무에요.
스타트업의 지분 배분은 모두에게 민감한 사항일 수 있기 때문에 쉬쉬하면서 서로 이야기를 하지 않다가 결국 언젠가 이를 다뤄야 하는 순간에 서로 기분이 상할 수 있기에 처음부터 이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필요한 것이죠.
회사가 점차 성장하면서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면 지분 배분에 대해 더욱 민감해질 수밖에 없죠? 또한 지분 배분으로 인한 팀원 내 갈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 스타트업 지분비율과 지분배분, 무엇을 고려하면 좋을까요?
스타트업 지분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스타트업의 시작과 관련하여 처음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제공한 창업자의 경우 회사 지분의 대부분을 받을 수 있겠죠? 유의해야 할 점은 외부 투자 유치를 진행하면서 신주 발행이 시작되면 창업자들의 지분이 희석될 수 있기 때문에 경영권 위협을 고려하여 적절한 지분 배분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배분율을 정해놓지는 않았지만 외부 투자자 유치 전에는 70-90%의 회사 주식을 창업자들에게 배분하고 그 외 10-30% 정도를 향후 계획을 위해 남겨두는 것이 좋아요. 창업자의 인원수에 따라 위 비율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겠죠?
창업자 간에 얼만큼 지분비율을 나눌 것일까?
얼마나 배분할까 보다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가 더 어려운 이슈 일수 있어요.
우선 투자한 자본금 비율대로 창업자 지분을 배분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가장 무난하다는 경우가 있어요. 또한 투자 자본에 따른 차등 배분이 있을 경우 불만과 갈등의 요소가 될 수 있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방해가 될 수 있기에 창업자들끼리 지분은 동일해야 한다는 경우도 있어요.
만약 균등한 지분 배분일 경우에 창업자 간의 무임승차가 이뤄져서 창업자 간의 사업 아이디어 설립 등의 중요도에 따라 차등 배분이 이뤄져야 한다는 경우도 있지요. 결국 지분비율에 대한 정답은 없는데요. 과연 무엇을 고려해야 좋을까요?
우선 회사가 초기에 설립될 때 많은 자본금을 요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자본금 투자 비율에 따른 지분 배분의 경우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어요. 몇백에서 몇천만 원 사이의 투자금으로 인해 너무 많은 지분을 가져간다면 회사의 성장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에요.
회사 기여도가 적은 상황에서 적은 금액으로 초기에 투자했다는 이유만으로 지분을 동일하게 가져간다면 경영권 방어가 어려울 수 있겠죠? 결국 회사의 성장에 따른 헌신도를 잘 파악하여 지분율을 정하는 것이 좀 더 나은 방안이 될 수 있어요.
누가 처음 사업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실현하였는가
누가 사업 기술과 관련된 상표권이나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가
외부 투자유치를 위해 네트워크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자신의 역량과 시간을 회사에 얼마만큼 투자하고 있는가
위 내용을 잘 파악하여 스타트업 지분비율을 어떻게 할 것인지 신중한 고민이 필요해요.
스타트업 지분비율에 대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싶다면?